우유가 포함된 가공품을 먹다보면 농후발효유라고 적혀있는 제품들이 있습니다. 여기서 농후발효유란 무엇일까요?
"발효유"란 말그대로 발효한 우유라는 말인텐데, 그렇다면 농후는 무슨 뜻일까요?
농후(濃厚)의 의미
"농후"라는 단어는 한자어로, "짙을 농(濃)"과 "두터울 후(厚)"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농후"는 한자 그대로 '농도가 짙고 진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죠. 우리가 일상적으로 농후한, 농후하다 등으로 사용하는 그 의미로, 맛, 향, 색깔 등이 짙고 강한 상태를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농후한 커피'는 그 맛과 향이 매우 강하고 깊은 커피를 의미합니다.
발효유란?
"발효유"는 우유를 특정한 미생물을 이용해 발효시켜 만든 유제품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우유 속의 락토스가 젖산으로 분해되며, 이로 인해 발효유 특유의 신맛과 농도가 형성됩니다. 발효유의 종류로는 요구르트, 케피어, 비피더스 등이 있으며, 이들 모두는 각기 다른 유산균과 효모를 사용해 발효됩니다.
발효유는 유산균 덕분에 건강에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합니다. 유산균은 장 건강을 개선하고, 면역력을 강화하며, 소화를 도와줍니다. 또한,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젖산은 우유의 단백질을 부분적으로 분해해 소화가 더 쉬워지도록 합니다. 이로 인해 유당 불내증을 가진 사람들도 비교적 쉽게 발효유를 섭취할 수 있습니다.
농후발효유란?
이제 "농후발효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농후발효유는 발효유의 한 종류로, 일반 발효유에 비해 훨씬 더 진한 맛과 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제조 과정에서 우유의 고형분 함량을 높여 더욱 농후한 맛과 질감을 얻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농후발효유는 발효 과정 중에 우유의 일부 수분을 제거하거나, 발효 전에 우유에 크림 또는 탈지분유를 첨가해 고형분 함량을 높여 만듭니다.
농후발효유 vs 발효유
발효유는 1g당 1000만 이상의 유산균을 함유하고 잇는 반면, 농후발효유는 1g당 1억 이상의 유산균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같은 양으로 10배 이상의 유산균을 섭취 가능합니다.
농후발효유는 그 진한 맛과 영양 성분 때문에 다양한 요리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스무디, 소스, 디저트 등에서 사용하여 풍미를 더할 수 있습니다.
제로 맥주 0.0과 0.00, 진짜 무알콜일까? 제로 맥주마시고 운전해도 될까? (0) | 2024.06.08 |
---|---|
유니짜장이란? 유니 뜻 (1) | 2024.06.08 |
노스탤지어 (Nostalgia)란? (0) | 2024.06.01 |
일기예보 용어 : 일기예보에서 말하는 "한때"와 "가끔"은 얼마만큼의 시간일까? (0) | 2023.11.04 |
'삼선'의 유래?! 삼선 짜장면, 삼선 짬뽕의 "삼선"은 무슨 뜻일까? (3) | 2023.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