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라이팅이란?
가스라이팅(Gaslighting)은 심리적 조작을 통해 피해자가 자신의 현실 인식이나 기억, 정신 상태를 의심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특히 학대적인 관계에서 종종 사용되며, 가해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피해자가 혼란스럽고 불안해하며 자신을 의심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작은 점진적이고 체계적이어서 피해자가 자신의 현실 인식을 완전히 잃게 될 수도 있습니다.
가스라이팅의 어원
가스라이팅이라는 용어는 20세기 중반에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의학용어는 아니지만 널리 쓰이는 용어입니다.
가스라이팅이라는 용어는 1938년 패트릭 해밀턴(Patrick Hamilton)이 쓴 연극 "가스등(Gas Light)"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영국에서 성공을 거둔 이 연극은 미국 브로드웨이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으며, 이후 두 차례 영화화되었습니다. 1940년 영국 영화와 이를 리메이크하여 1944년 MGM 스튜디오가 만든 미국 영화가 있습니다. 특히 1944년 영화는 찰스 보이어(Charles Boyer)와 잉그리드 버그만(Ingrid Bergman)이 주연을 맡아 큰 성공을 거두었고, 버그만은 이 영화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특히 1944년 영화는 이 용어의 대중화를 크게 이끌었습니다.
패트릭 해밀턴의 "가스등"
패트릭 해밀턴의 <가스등>에서는 남편이 자신의 잘못을 숨기기 위해 아내를 정신병자로 세뇌시킵니다. 아내가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기 위해 집 안 물건들을 숨겨두고 아내의 정신 상태를 부정하는 방식으로 그녀를 혼란스럽게 하고 조작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때 다른 방에서 가스등을 사용하면 거실의 가스등이 어두워지는데 남편이 외출한다하고 몰래 위층 다락방에 숨어들어 가스등을 키면 거실의 가스등이 어두워지는 것을 아내가 이상하게 생각할 때 마다 남편은 그것을 아내의 망상으로 매도합니다.
이 부분에서 "가스라이팅"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가스라이팅의 특징
가스라이팅은 본래 연극과 영화에서 유래했지만, 이제는 일상 생활에서 누군가를 조작하고 통제하려는 모든 형태의 심리적 학대를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가스라이팅의 일부 특징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스라이팅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의도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여 피해자가 자신의 기억과 인식을 의심하게 만듭니다.
피해자가 느끼거나 경험한 것을 부인하고, 왜곡된 버전의 사실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반복적인 부정과 왜곡은 피해자가 자신의 판단을 믿지 못하게 합니다.
지속적인 심리적 압박을 통해 피해자가 자신의 능력과 가치를 의심하게 만듭니다.
가스라이팅은 일반적으로 서서히 이루어집니다. 처음에는 작은 거짓말과 부정에서 시작하여, 점차 피해자의 모든 인식과 기억을 의심하게 만드는 수준으로 발전합니다. 이러한 단계적 조작은 피해자가 변화하는 상황을 인식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가스라이팅은 피해자에게 심각한 심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의심과 혼란은 피해자의 자존감을 크게 떨어뜨리고, 심한 경우 정신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피해자는 자신의 기억과 판단을 믿지 못하게 되어 일상 생활에서 극심한 불안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술 마신 다음날 일찍 깨는 이유? (0) | 2024.06.29 |
---|---|
숙취에 좋은 음식 ; 숙취의 원인 (0) | 2024.06.29 |
RE100이란? 쉽게 알아보기 : 한국형 RE100 (0) | 2024.06.10 |
단백질바와 에너지바의 차이 : 어떤 점이 다르고 무얼 선택해야 할까? (0) | 2024.06.09 |
사천 짜장, 사천 짬뽕에서 사천이란? 사천 뜻 (0) | 2024.06.09 |